온센서AI 관련주 정리 (어보브반도체, 픽셀플러스, 에이엘티)

최근 삼성전자의 갤럭시S24로 인해 온디바이스AI가 관심을 받았는데 삼성전자의 로드맵이 서버AI → 온디바이스AI → 온센서AI로 움직인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온센서AI도 시장의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이에 온센서AI가 무엇인지 간략히 알아보고 관련주도 어떤 종목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온센서AI 이해

온센서AI는 이미지센서에 AI칩을 탑재한 센서로 알려져 있는데 온디바이스AI처럼 중앙서버가 아닌 디바이스에서 컴퓨팅이 이뤄지지만 온디바이스AI와는 달리 AP가 아닌 MCU를 채택한 것이 특징입니다. (MCU는 AP보다 성능이 떨어지지만 특정 AI 기능을 프로그래밍하는덴 효율적으로 알려짐)

이지미센서가 기존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중앙서버나 CPU로 대량의 데이터를 송신하여 AP의 전력 소모가 커지는 단점이 있었는데 온센서AI를 활용할 경우 이미치 처리과정에서 내장 센서를 활용하기 때문에 ISP를 거치지 않아 전력소비가 대폭 감소하게 됩니다. (모바일에서 기존 AP와 센서를 함께 사용하면 전력 소비량이 150mW~1.5W이고, 온센서AI를 활용하면 10~15mW수준으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음)

또한 기존 이미지센서는 CPU에 정보를 제공하는 전달자 입장에 불과했지만 온센서AI는 센싱 기능과 AI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상황을 인식하고 분석, 추론하여 즉각적으로 반응, 반영할 수 있다는 점이 있고, 실시간으로 데이터에 반응할 수 있다보니 여러 가전제품,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AI 서비스 구현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삼성전자가 2억 화소 이미지센서 기반 초고해상도 특수 줌 기능을 선보였는데 여기에 온센서AI가 적용됐고, SK하이닉스도 현재 이미지센서 개발조직과 실증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히는 등 향후 온센서AI 경쟁도 첨예해질 것으로 여겨집니다.

 

이미지센서 (SK하이닉스 홈페이지 캡쳐)
이미지센서 (SK하이닉스 홈페이지 캡쳐)

 

온센서AI 관련주

어보브반도체 : 온센서AI의 두뇌 역할을 하는 MCU를 개발해 관련주로 분류됨 (가전제품을 주력으로 MCU 개발)

픽셀플러스 : 이미지센서 AI를 탑재한 이미지신호처리(ISP) 칩을 처음으로 상용화했고, NPU로 노이즈 데이터를 분석해 화질을 개선할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관련주로 분류 (가정용 고성능 이미지센서 PK9210K를 개발)

에이엘티 : CMOS 이미지센서 등 테스트 업체로 국내 최대 MCU 설계회사와 함께 테스트 개발을 통해 테스트 솔루션을 제공 중이란 점에서 관련주로 분류됨

MCU 관련주로는 텔레칩스, 라닉스, DB하이텍 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