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M 관련주 정리 생성형AI 분야 PIM 반도체 활용도 부각

최근 생성형AI 확산으로 인해 AI 서버의 막대한 데이터 처리 능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고용량, 고대역폭을 갖춘 메모리반도체 HBM이 큰 관심을 받았고, 이어서 메모리반도체의 전체적인 성능을 끌어올리는 PIM이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습니다.

아직 PIM이 자릴 잡아가기엔 시간이 필요하지만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메모리반도체 제조사들이 PIM을 향후 AI 반도체 시장의 핵심기술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기술 개발에 나선만큼 조속한 시일 내에 기술이 고도화되고 선보이게 될 것으로 여겨집니다.

 

PIM에 대해

PIM은 반도체 내부에 연산 프로세서 기능을 탑재해 데이터 처리 효율성을 극대화한 반도체 구조인데, CPU(GPU)와 메모리 사이에 주고받는 데이터가 많아지면 컴퓨터 속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PIM이 메모리 내부에서 일부 연산을 처리하여 CPU와 메모리 간 데이터 전송이 감소해 처리속도가 높아지고 전력 소모도 줄어들어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로 관심을 받게 되었습니다.

 

PIM 관련주를 관심 갖아야 하는 이유

① 온디바이스AI 확산, 데이터센터 증가 등 PIM 반도체의 활용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고,
② 이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글로벌 시장 선점, 우위를 점하기 위해 개발을 추진 중이란 점에서 관심이 커질 가능성이 있고,
③ 위①,②번과 일맥상통하지만 거시적 관점에서 앞으로 AI가 고도화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연산 소요가 발생하기 때문에 고성능 메모리반도체 기술이 필요한데 PIM이 연산을 메모리 내부에서 일부 처리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AI 반도체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해 PIM에 대한 관심은 필연적일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PIM 관련주 정리

매커스 : 삼성전자가 AMD와 PIM 개발을 협업 중이고, 매커스는 AMD 국내 총판이란 점에서 PIM 관련주로 분류됨

와이씨켐 : AI 반도체 정밀도 핵심 연마제인 TSV 슬러리를 개발해 PIM 반도체 개발 수혜 가능성이 부각된 바 있음

제주반도체 : PIM 오류정정 디바이스 개발 과제 수행기관으로 선정된 이력이 있어 관련주로 분류됨